지방미분양 한숨…건설업계, 재무건전성 '빨간불'

2025-11-04     배수한 기자

건설업계의 건전성 지표에 빨간불이 커졌다.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건설업계가 유동성 확보에 난항을 겪으면서다. 게다가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주택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보니 건설업계의 부실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미분양 증가,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건설 원자잿값 상승 등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 수익성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한국신용평가가 자사 신용등급을 보유한 건설업체 13개사의 올 2분기 영업이익률은 3.4%로 2021년 2분기(6.7%) 대비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다.

또 기업의 신용상태에 따라 부실 위험을 단계별로 구분하는 지표에서도 위험 신호가 감지된다. 한국평가데이터는 기업의 부도 위험을 예측하는 조기경보(Early Warning·EW) 등급은 '정상·유보·관심·주의·경보·위험' 등 총 6단계로 구분된다. 등급 변화를 통해 기업의 부도 위험 수준을 가늠할 수 있고, 주의 이후 단계부터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판단한다. 2023년 기준 ‘정상’ 등급의 건설사는 3만2658곳에서 2024년 3만1038곳, 2025년 10월 현재 2만9368곳으로 3만 선이 무너졌다.

실제 건설외감기업의 절반가량이 영업활동으로 번 돈으로 이자를 지급하면 남는 돈이 없을 정도로 경영 위기가 심각한 수준이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2024년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부실현황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외감기업(직전 사업연도말 기준 자산총액·매출액이 500억원 이상으로 외부 회계 감사 대상인 건설사) 중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곳의 비중은 44.2%로 나타났다. 건설외감기업들 절반 가까이 외부의 도움 없이는 정상적 경영활동이 어려운 부실 한계기업인 것이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1 미만이면 벌어들인 돈보다 이자 비용이 많아 채무 상환이 어렵다는 의미다.

특히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건설외감기업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건설외감기업 비중이 ▲2020년 33.1% ▲2021년 37.7% ▲2022년 41.3% ▲2023년 43.7% ▲2024년 44.2%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방을 중심으로 쌓인 미분양도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6만6762가구로, 전월보다 149가구(0.2%)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2만7248가구로 1.2% 감소했다.

준공 후 미분양 중 지방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84.4%(2만2992가구)로 집계됐다. 대구가 3669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남(3311가구), 경북(2949가구), 부산(2749가구), 전남(2122가구), 경기(287가구), 제주(1635가구) 등의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