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유통경로 간소화 등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마련
4일 해수부가 국무회의에서 발표한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에 따르면 이번 대책에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이익을 누리는 신뢰 기반의 유통체계 구축'이라는 비전 아래 4대 추진방향과 8대 추진과제가 담겼다.
수산물은 쉽게 부패·변질되는 특성상 콜드체인이 필수적이다. 유통과정상 냉동·냉장 시설 등이 필요해 농산물에 비해 다소 높은 유통비용이 발생한다. 수산물 유통비용률(63.5%)은 농산물(49.2%)보다 높다.
유통경로 간소화로 비용 줄인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2030년까지 수산물 유통비용률 10% 절감을 위해 기존 6단계로 이뤄진 유통경로를 생산자(어업인)→산지거점 유통센터(FPC)→소비자분산 물류센터(FDC)→소매상→소비자 등 4단계로 줄일 예정이다.
노후화된 산지 위판장은 저온·친환경 시설로 현대화해 수산물 품질과 위생을 유지하고, 바닷가 인근이라는 지리적 요건을 활용해 카페·레스토랑 등 복합공간으로 조성하여 투자 수요를 창출한다.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품목도 대폭 확대한다. 해수부는 현재 거래 가능한 수산물 품목을 60개에서 134개로 확대하고, 판매자 가입요건도 완화해 진입장벽을 낮춘다.
새 유통경로 신설…온라인 위판 시스템 도입
새로운 유통경로를 신설해 유통비용도 낮출 계획이다. 어업인들이 어획 직후 선상에서 모바일 기기로 경매를 할 수 있는 온라인 위판 시스템을 도입하고, 유통단계별 영상을 수집해 자동적으로 기록하고 빅데이터화해 유통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또 대도시권 소비지에 수산물 전문 직매장을 설치해 소비자들이 산지 수산물을 바로 구매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스마트 양식으로 안정적 생산기반 마련
기후변화에 따른 양식품종 전환과 양식지 이동 시 지원을 강화하고, 종자시설의 스마트·자동화 지원(30곳),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 조성 등으로 안정적인 물가관리 여건을 조성한다.
또 고수온 등 대량 폐사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기 위해 사후 재해 복구 중심에서 피해 예방형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다.
아울러 수급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주요 수산물의 수급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생산-수급-수요를 연동한 인공지능(AI) 기반 종합 예측모형으로 고도화를 추진한다.
끝으로 체계적인 도매시장 물량 관리를 위해 도매시장별 상품·거래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주요 도매시장부터 전자송품장을 시범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유통의 시작점부터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온라인 위판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 체계 구축 등 수협의 바다로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지속가능한 연근해어업 발전법'을 제정해 어획증명제 도입·확대 기반도 마련한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번 대책은 수산물 유통의 미래를 바꾸는 첫걸음으로서, 합리적인 가격 형성과 신뢰받는 유통환경 조성을 위해 이번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