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울산화력 붕괴 사고'에 "사고 당시 시공사 안전관리자조차 없었어"

2025-11-10     김길환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와 관련해 "각종 안전 매뉴얼은 공공부문 위험의 외주화 앞에선 무용지물이라는 것이 다시 한번 확인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노총은 10일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 관련 성명을 내고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앞서 6일 오후 2시6분께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보일러타워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현재까지 작업자 3명이 사망했으며 아직 4명은 구조작업 중이다. 2명은 사망 추정, 2명은 실종 상태다.

이에 민주노총은 "공공부문 위험의 외주화에 대한 부실한 정부 대책을 지목할 수밖에 없다"며 "사고 당시 현장엔 하청 정직원 1명과 일용직 노동자 8명이 작업을 했다"고 전했다.

노총은 "40년간 사용하다 2021년 사용이 중지된 철재 구조물 해체를 위한 작업에 발주사 안전 감독자는커녕 시공사 안전 관리자조차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주노총은 "동서발전이 했다는 기술 워크숍, 발파 해체 전문기술 1위라는 하청업체, 각종 안전 매뉴얼은 '위험의 외주화, 다단계 하청구조' 앞에선 무용지물이라는 것이 다시 한번 확인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민주노총은 "더 처참한 사실은 이번 사고가 '공공부문 불법 하도급은 절대 용납 불가', '공공기관이 발주한 공사부터 안전관리 강화' 등 정부 선언 이후에 벌어졌다는 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노총은 ▲다단계 도급 고용구조 엄중수사 및 책임자 처벌 ▲유해 위험 업무 도급금지 등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