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침체·미분양 증가…중소·중견건설사 유동성 위기 심각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9월 폐업신고를 한 종합건설사는 486곳으로 전년 동기(435건)보다 11.7% 증가했다.
4년 전 동기(226건)와 비교하면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또 전문건설업 폐업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줄었다. 전문건설업 폐업 건수는 지난달까지 총 2083곳으로, 전년 동기(2175곳) 대비 4.2%(92곳)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건설업계의 폐업과 부도가 잇따르면서 보증사고 금액이 1조원을 넘어섰다. HUG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분양(사용검사 전 임대 포함) 보증사고 금액은 총 1조1558억원으로 집계됐다. 보증사고 금액이 1조원을 넘긴 것은 건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HUG는 주택사업자가 부도 및 파산 등으로 분양계약에 차질을 빚을 경우 해당 주택에 대한 분양을 이행하거나, 수계약자가 이미 낸 계약금(중도금) 등을 환급해주고 있다.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도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6만6762가구로, 전월보다 149가구(0.2%)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2만7248가구로 1.2% 감소했다.
준공 후 미분양 중 지방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84.4%(2만2992가구)로 집계됐다. 대구가 3669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남(3311가구), 경북(2949가구), 부산(2749가구), 전남(2122가구), 경기(287가구), 제주(1635가구) 등의 뒤를 이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제 건설외감기업의 절반가량이 영업활동으로 번 돈으로 이자를 지급하면 남는 돈이 없을 정도로 경영 위기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2024년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부실현황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외감기업(직전 사업연도말 기준 자산총액·매출액이 500억원 이상으로 외부 회계 감사 대상인 건설사) 중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곳의 비중은 44.2%로 나타났다. 건설외감기업들 절반 가까이 외부의 도움 없이는 정상적 경영활동이 어려운 부실 한계기업인 것이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1 미만이면 벌어들인 돈보다 이자 비용이 많아 채무 상환이 어렵다는 의미다.
특히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건설외감기업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건설외감기업 비중이 ▲2020년 33.1% ▲2021년 37.7% ▲2022년 41.3% ▲2023년 43.7% ▲2024년 44.2%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내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4.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민간 주택 경기 회복 지연과 건설공사비 부담 심화, 강도 높은 안전·노동 규제 등을 비롯해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회복 속도가 더딜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건설동향브리핑에 따르면, 2026년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4.0% 증가한 231조2000억원 규모로 전망된다. 2026년 건설수주는 공공이 시장을 이끌고, 민간은 제자리걸음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추진 중인 SOC 예산 확대와 LH 발주 물량 증가, 9·7대책을 통한 공급 확대 기조가 공공부문 수주를 끌어올리지만, 민간 부문은 주택시장 위축과 각종 규제, 공사비 상승 부담으로 수주 회복이 더딘 상황이다.
건산연은 건설산업 회복을 위해서는 단지적인 경기 부양보다 체질 전환 중심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를 위해 ▲미래 수요 대응형 인프라 투자 ▲기술·생산 혁신 ▲ESG·안전 중심 투자 확대 등을 꼽았다.
건산연은 "6·27대책, 10·15대책 등 주택 수요 억제 정책이 이어지고, 미분양 정체와 PF 리스크, 중대재해처벌법·노란봉투법 등 안전·노동 규제 강화가 공사 지연과 비용 상승을 초래하며 민간 수주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며 "건설기업이 생존해야 산업에 전환이 가능하다는 관점에서, 단기적 물량 창출 정책을 통한 건설기업 생존 기반 확보도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