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특례시, 2026년 4.1조 편성…미래첨단산업 투자집중
창원특례시(시장 장금용)는 20년 예산안을 올해보다 2424억원(6.4%) 증가한 4조142억원으로 편성해 미래 첨단산업 투자에 집중하겠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어려운 지방재정 여건 속에서도 재정 효율화를 통해 첨단산업 육성, 사회안전망 강화, 지역경제 회복과 성장이라는 3대 핵심 투자 방향에 집중할 계획이다.
4조142억원 예산안은 일반회계 3조5286억원, 특별회계 4856억원으로 구성됐다.
주력산업 혁신과 차세대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기반의 첨단 기술 연구 및 제조, 제조 AI 서비스 개발, 원전기업 지원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나선다.
사회복지 분야에는 1조6687억원을 투입해 기초연금, 노인일자리, 보육료 지원 등 복지 안전망을 빈틈없이 구축한다.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해 신포(척산)지구 풍수해 정비 등 재해취약지역 정비 사업을 포함한 안전 분야에도 660억원을 편성했다.
시는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해 창원사랑상품권(누비전) 운영, 전통시장 지원, 소비 촉진과 청년 내일통장, 청년 비전센터 개소 등 청년 지원 및 인구 유입 정책에도 집중한다.
또 K예술마실섬 네트워크, 창원바다 둘레길 조성, 내서도서관 재건립 등 문화·관광 인프라 확충과 도시 품격 제고 사업에도 예산을 반영했다.
시는 정책 사업비에 비해 행정 운영 경비 비중이 높다는 지적에 대해선 "행정구역 통합과 전국 기초단체 중 유일하게 소방업무가 창원시 소속 운영이라는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시는 전국 기초단체 중 유일하게 소방업무가 시 소속으로 운영돼 행정 운영 경비에 소방부문 예산 1037억원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소방 부문 예산을 제외한 행정 운영 경비 비중은 내년 본예산(안) 기준 12.10%로 유사 지자체 평균 수준에 근접하는 수준이다.
시는 산업·지역개발 투자가 줄었다는 분석에 대해선 "통상적으로 법정 의무 경비인 사회복지 예산은 본예산에 최대한 편성하는 반면 시설·사업 예산은 전략적으로 추경 예산에 편성하는 경우가 많아 추경이 포함된 최종 예산 규모를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월 예산과 순세계잉여금 규모에 대해서도 "유사 지자체와 비교했을 때 특별히 과다한 수준은 아니며 이월사업 사전심사제 운영 등을 통해 작년 회계연도 이월액을 전년 대비 20.4% 감축하는 등 예산 집행의 효율성을 높이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창원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4조원대 예산 기반을 마련했다"며 "확보된 재원은 첨단산업 등 성장 동력에 집중 투자하는 한편, 이월 최소화 등 책임감 있는 집행을 통해 재정 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