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의 평균 물가가 31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제유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은 3.6% 물가상승률을 기록하며 OECD 회원국 중 낮은 수준에 속했지만, 에너지 물가는 10.7% 오르며 7개월째 10%대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7일 OECD 보고서에 따르면 OECD 38개 회원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2%로 지난해 12월(6.6%)보다 0.6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1991년 2월(7.2%) 이후 약 3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OECD 회원국 중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터키로 48.7%까지 올랐다. 터키는 비정상적인 금리 인하 추진과 그로 인한 통화 가치 폭락에 물가가 상승해왔다. 여기에 올해 최저임금을 올린데다가 전기, 가스, 버스 요금 등 가격을 줄줄이 인상하며 물가 상방 압력을 가중시켰다.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도 7.5% 올랐다.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의 최대 폭 상승이다. 영국과 독일의 1월 소비자물가는 각각 4.9%를, 이탈리아는 4.8%를 기록했다.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가장 낮은 나라는 일본으로 0.5% 상승에 그쳤다.

 우리나라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로 OECD 회원국 중 29위를 차지했다.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으로 다른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고물가 현상의 영향을 덜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요 20개국(G20)의 평균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6.5%로 집계됐다. 주요 7개국(G7)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8%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진 가장 큰 이유는 국제유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급등이 꼽힌다. OECD 회원국의 1월 에너지 가격은 1년 전보다 26.2% 상승했다. 터키의 에너지 물가 상승률은 89.4%로 가장 높았으며 벨기에가 60.9%로 뒤를 이었다.

 미국은 27.0%였으며 소비자물가가 가장 낮았던 일본 또한 17.9%로 집계됐다. 우리나라는 10.7%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에너지 가격도 지난해 7월부터 7개월 연속 10%대를 웃돌았다. 지난해 11월에는 20.6%까지 오르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이달부터는 전 세계적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국제유가, 천연가스, 국제 곡물 가격 상승 등의 여파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코리아이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