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민·관정책협의회'에서 서울시정비사업연합회(회장 김준용)와 주택공급 정책과 관련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민·관정책협의회'에서 서울시정비사업연합회(회장 김준용)와 주택공급 정책과 관련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간담회장(8층)에서 ‘서울시 정비사업연합회’ 소속 주민대표들과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민‧관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서울시 정비사업연합회’는 신속통합기획 재개발·재건축 구역 주민대표 63명으로 구성된 자발적 민간협의체다. 구역별 정비사업 추진과정을 공유하고 정책‧제도 개선 사항 논의가 운영 목적이다.

이날 간담회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김병민 정무부시장, 최진석 주택실장, 김준형 주택정책수석 등 서울시의 주택정책과 정비사업을 담당하는 간부들이 참석했고, 연합회 측에서는 김준용 서울시 정비사업연합회 회장(대림1구역)과 정비구역을 대표하는 34명이 참석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민·관정책협의회'에서 서울시정비사업연합회(회장 김준용)와 주택공급 정책과 관련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민·관정책협의회'에서 서울시정비사업연합회(회장 김준용)와 주택공급 정책과 관련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오 시장은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 등을 통해 불필요한 절차와 과정을 줄여 정비사업 기간을 6년 6개월 단축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등 주택공급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서울시가 재개발, 재건축에 공을 들이고 애를 쓰는 이유는 신규주택을 꾸준히 공급하고 유지해야 주택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고, 특히 서울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라고 말했다.

이어 “어제 정부 부동산안정화대책 발표로 분담금, 이주 등의 문제를 비롯해 갈등이 불거질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지금부터라도 서울시, 자치구, 연합회가 호흡을 맞춰 속도를 더디게 하는 요소들을 최소화해 주민들이 원하는 시점에 입주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 1.0’과 제도개선을 통해 정비사업 기간을 18.5년에서 5.5년 단축했고 최근 불필요한 인허가 절차 개선, 행정적 지원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신속통합기획 2.0’를 발표, 정비기간을 추가로 1년 더 줄여 총 12년으로 앞당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이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