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인구 2022년 5167만명→2042년 4963만명으로 감소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내외국인 인구추계'에 따르면 총인구(내국인+외국인)는 2022년 5167만명에서 2042년 4963만명으로 감소한다. 총인구는 2025년 이후 향후 10년간 연평균 8만1000명 감소한 뒤 2042년까지 연평균 16만4000명 줄며 감소폭을 확대할 전망이다.
총인구 인구성장률은 2025년 이후 향후 10년간 연평균 -0.16% 수준을 기록한 뒤, 이후 감소 속도가 빨라져 2042년까지 연평균 -0.33%로 전망된다.
내국인은 2025년 이후 향후 10년간 -0.26% , 이후 2042년까지 -0.44% 수준으로 감소세가 확대되고 외국인은 2.15%, 1.64%을 기록해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총인구 대비 외국인 구성비는 20년새 1.8배 높아진다. 내국인 구성비는 2022년 96.8%(5002만명)에서 2042년 94.3%(4677만명)로 감소하고 외국인은 5.7%(285만명)로 2022년 대비 3.2%(165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내국인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진입하는 2020년대에는 연평균 39만명, 2030년대에는 연평균 53만명 감소할 전망이다.
2022년과 2042년 내국인의 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70.5%에서 55.0%로 15.5%포인트(p) 감소하고,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17.8%에서 36.9%로 두 배 이상 증가한다. 저출산 현상으로 0~14세 유소년인구 비중은 11.7%에서 8.1%로 한자리 수로 떨어진다.
65세 이상 내국인 고령인구는 2025년 1000만명을 넘고, 2036년 150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내국인 고령인구 구성비는 2022년 17.8%에서 2025년 20%를 넘고, 2035년 3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인구(유소년인구+고령인구)를 나타내는 내국인 총부양비는 2022년 41.8명에서 2042년 81.8명으로 증가한다.
저출산 영향으로 2022~2042년 기간 동안 내국인 유소년부양비는 12~17명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나, 내국인 노년부양비는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2022년 25.2명에서 2042년 67.0명으로 두 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귀화, 이민자 2세, 외국인의 합으로 산출하는 이주배경인구는 2022년 220만명에서 2042년 404만명으로 증가한다. 총인구 중 이주배경인구 구성비는 2022년 4.3%에서 2042년 8.1%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주배경인구 중 귀화 내국인은 2022년 22만명에서 2042년 52만명으로, 이민자 2세 내국인은 2022년 33만명에서 2042년 67만명으로 각각 2배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총인구 중 귀화 내국인 구성비는 2022년 0.4%에서 2042년 1.0%로, 이민자 2세는 2022년 0.6%에서 2042년 1.4%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