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외매체 조선중앙통신은 25일 '김혁남' 이라는 개인 명의 글 '3각 군사공조 실현의 척후로 나선 서울 위정자의 추태' 제목의 글에서 "백악관 주인을 향한 구애의 메시지"라고 비난했다.
그는 "이번 한일 수뇌(정상)회담은 워싱턴의 《오해》를 덜어보려는 서울의 불안 심리가 빚어낸 하나의 외교촌극"이라고 비하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방미 전 일본을 찾은 데 대해서도 "이번 도쿄 행각의 배경에는 바로 현 집권자에 대한 미국의 불신과 그로 인한 하수인의 번민이 얽혀있다"고 했다.
그는 "리재명이 야당대표 시절 민심 유혹을 위해 내뱉곤 하던 《대일강경》 발언으로 얻어쓴 《반일》감투 때문에 집권 이후 일본 내부의 싸늘한 시선은 물론 미국의 냉대와 압박을 받아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로부터 미국의 대외전략 실행의 핵심 수단인 미일한 3각 군사동맹의 한 축으로 되는 한일관계를 《고도로 중시》한다는 확고한 자세를 보여주어 상전의 의심을 해소하고 백악관 나들이 때 있을 수 있는 외교참사도 피해볼 작정으로 급기야 자발적인 친일검증 행각길에 오른 것"이라고 비하했다.
또 "한일 사이의 협력 강화로 침략적인 미일한 3각 군사동맹의 구조와 기능이 더욱 제고될 것이며 그로 하여 조선반도와 동북아시아지역 정세에 엄중한 영향이 미치게 되리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며 "우리는 패권지향적인 미국과 그 추종자들에 의해 벌어지고 있는 우려스러운 사태를 절대로 수수방관하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17년 만에 공동언론 발표문을 냈다.
발표문에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구축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한미일 공조 필요성이 담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