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까지 통합재정수지 63.5조, 관리재정수지 102.4조 적자
- 9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1259조원…올들어 116.8조원↑

13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1월호'에 따르면 올해 1~9월 총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41조4000억원 증가한 480조7000억원, 총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51조9000억원 증가한 544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63조5000억원의 적자를 나타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보장성기금수지 흑자를 제외해 실질적인 나라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102조4000억원의 적자를 냈다.

9월까지 누적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는 2020년(108조4000억원) 이후 역대 2번째 규모다. 지난해 같은 기간(91조5000억원)과 비교해서는 10조9000억원 가량 적자가 늘었다.

국세수입은 289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조3000억원 증가했다. 법인세수가 21조4000억원, 소득세수가 10조2000억원 증가했고, 부가세수는 2000억원 감소했다. 세수 진도율은 77.8%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p 상승했다.

세외수입은 24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2000억원 증가했다. 기금 수입은 166조5000억원으로 4조9000억원 늘었다.

9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1259조원으로 전달보다 1조9000억원 감소했다. 지난해 말(1141조2000억원)부터 올해 9월 말까지 나랏빚은 116조8000억원 증가했다.

10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17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경쟁입찰 기준으로는 16조8000억원이다.

1~10월 누적 국고채 발행량은 205조2000억원으로 연간 총 발행 한도의 88.8%까지 상승했다. 2차 추경에 따른 국고채 발행한도액 기준은 231조1000억원이다.

국고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정부의 자금 조달 부담도 커졌다. 기재부는 최근 국고채 금리 상승이 통화정책 기조에 대한 시장 기대 변화 등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10월 말 기준 국고채 3년물 금리는 2.716%으로 전월(2.582%)보다 0.134%p 올랐다.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3.061%로 전달(2.951%)보다 0.11%p 상승했다.

평균 조달금리는 2.68%로 전월(2.61%) 대비 0.07%p 상승했다. 응찰률은 262%로 전월(264%)보다 낮아졌다.

10월 외국인 국고채 보유잔액은 280조6000억원으로 전달(279조5000억원)보다 1조1000억원 증가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24.1%로 전월(24.2%)보다 0.1%p 떨어졌다.

저작권자 © 코리아이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